본 전공은 서양고전음악, 동양전통음악, 대중음악(Pop, K-Pop 등) 및 Jazz음악을 통해 ‘21세기 신 음악’을 창조한다는 커다란 이념을 그 바탕에 두고 있다. 실용음악전공은 음악의 대중성, 실용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해 진취적이고 자유로우며 도전적인 음악적 실험을 교과목 및 학과, 그리고 학과 내 음악활동의 중심으로 둔다. 학생들은 음악에 대한 전문적인 소양과 학습경험은 물론 자신의 독자적인 음악세계를 구축할 수 있는 전문적인 음악 전반에 대해 공부한다.
졸업 후 학생들은 작곡가, 직업연주가, 교수 혹은 교사, 방송국PD, 음악매니지먼트 사원, 음반제작자, 재즈연주자, 뮤지컬 · 오페라 배우, 광고음악 · 멀티미디어 코디네이터, 음향설계사(Sound Designer), 영상음악(영화, 드라마, 다큐멘터리), 음악PD 혹은 코디네이터, 음향엔지니어 등 전통적인 음악분야는 물론, 첨단 문화산업 영역으로 진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직업적 활용도가 큰 교과목들 및 전문가와의 일대일 개인교습을 통한 각 분야의 새로운 교과목들이 개발될 예정이며 대학 외 현장 활동을 적극 지원함으로써 교과과정의 응용가능성, 현실 적응성을 최대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음악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 양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를 둔다.
학과명 | 졸업학점 | 전공별 이수학점 | |||
---|---|---|---|---|---|
전공기초 | 전공필수 | 전공선택 | 계 | ||
실용음악 | 24 | - | - | 24 | 24 |
전공명 | 편성 교과목 | 전공필수+전공선택 (B+C) |
||||||
---|---|---|---|---|---|---|---|---|
전공기초 (A) | 전공필수 (B) | 전공선택 (C) | ||||||
과목수 | 학점수 | 과목수 | 학점수 | 과목수 | 학점수 | 과목수 | 학점수 | |
실용음악 | - | - | 25 | 75 | 25 | 75 |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내규 제4장 수업·학점 및 성적에 따름
순번 | 이수구분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시간 | 이수학기 | 개설학기 | ||||
---|---|---|---|---|---|---|---|---|---|---|---|
이론 | 실기 | 실습 | 설계 | 1학기 | 2학기 | ||||||
1 | 전공선택 | PEA7038 | 싱어송라이팅실습 1 | 3 | 3 | 1 | ○ | ||||
2 | 전공선택 | PEA7001 | 컴퓨터음악실습 | 3 | 3 | 1 | ○ | ||||
3 | 전공선택 | PEA7008 | 재즈앙상블1 | 3 | 3 | 1 | ○ | ||||
4 | 전공선택 | PEA7056 | 케이팝신서시스 | 3 | 3 | 1 | ○ | ||||
5 | 전공선택 | PEA7039 | 피아노클래스1 | 3 | 3 | 1 | ○ | ||||
6 | 전공선택 | PEA7053 | 보컬퍼포먼스1 | 3 | 3 | 1 | ○ | ||||
7 | 전공선택 | PEA7048 | 랩메이킹1 | 3 | 3 | 1 | ○ | ||||
8 | 전공선택 | PEA7037 | 레코딩뮤직프로덕션 | 3 | 3 | 1 | ○ | ||||
9 | 전공선택 | PEA7002 | 사운드디자인 | 3 | 3 | 2 | ○ | ||||
10 | 전공선택 | 신규 | 피아노클래스2 | 3 | 3 | 2 | ○ | ||||
11 | 전공선택 | PEA7052 | 보컬퍼포먼스 2 | 3 | 3 | 2 | ○ | ||||
12 | 전공선택 | PEA7054 | 랩메이킹 2 | 3 | 3 | 2 | ○ | ||||
13 | 전공선택 | 신규 | 아티스트브랜딩 | 3 | 3 | 2 | ○ | ||||
14 | 전공선택 | 신규 | 재즈앙상블2 | 3 | 3 | 2 | ○ | ||||
15 | 전공선택 | PEA7051' | 보컬테크닉 | 3 | 3 | 2 | ○ | ||||
16 | 전공선택 | 신규 | 스튜디오세션프로젝트1 | 3 | 3 | 3 | ○ | ||||
17 | 전공선택 | PEA7062 | 한류와아시아문화 1 | 3 | 3 | 3 | ○ | ||||
18 | 전공선택 | 신규 | 전공렉처 | 3 | 1 | 2 | 3 | ○ | ○ | ||
19 | 전공선택 | PEA7058 | 헐리우드영화음악작곡법 | 3 | 3 | 3 | ○ | ○ | |||
20 | 전공선택 | PEA7055 | 드라마음악제작실기 1 | 3 | 3 | 3 | ○ | ||||
21 | 전공선택 | PEA7057 | 케이팝보컬교육 | 3 | 3 | 3 | ○ | ||||
22 | 전공선택 | PEA7059 | 프로젝트워크샵1 | 3 | 3 | 3 | ○ | ||||
23 | 전공선택 | PEA7041 | 싱어송라이팅실습 2 | 3 | 3 | 4 | ○ | ||||
24 | 전공선택 | 신규 | 스튜디오세션프로젝트2 | 3 | 3 | 4 | ○ | ||||
25 | 전공선택 | PEA7043 | 믹싱테크닉과실습 | 3 | 3 | 4 | ○ | ||||
26 | 전공선택 | PEA7049 | 드라마음악제작실기 2 | 3 | 3 | 4 | ○ | ||||
27 | 전공선택 | PEA7063 | 한류와아시아문화 2 | 3 | 3 | 4 | ○ | ||||
28 | 전공선택 | PEA7060 | 프로젝트워크샵2 | 3 | 3 | 4 | ○ |
순번 | 개설 학과명 |
과목개설 전공명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 | 인정 이수구분 |
적용 개시연도 |
비고 |
---|---|---|---|---|---|---|---|---|
1 | 실용음악학과 | 실용음악전공 | 3 | 전공선택 | ||||
2 | 실용음악학과 | 실용음악전공 | 3 | 전공선택 | ||||
3 | 실용음악학과 | 실용음악전공 | 3 | 전공선택 | ||||
4 | 실용음악학과 | 실용음악전공 | 3 | 전공선택 |
이 과목은 학생들이 프로젝트 실습을 통하여 산업경영공학의 제반이론을 산업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는 종합설계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프로젝트 실습을 산업경영공학과의 세부분야별로 실시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전 분야에 대하여 기초적인 현장 응용과 종합설계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운영한다.
보컬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작곡 및 반주에 대해 연구한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음악을 만드는 기법을 배우는 수업이다. 수강생 다수의 현재 실력에 따라 수업 레벨을 초급과 고급 중에서 선정한다. 메인 프로그램은 학교 컴퓨터실에 비치된 Apple LOGIC으로 채택한다. 최대한 직접 따라 해볼 수 있는 Hand-on-Training 방식의 실기 중심 수업이 되도록 진행한다.
아티스트별 앨범 및 음원을 화성학적으로 접근하여 분석‧연구한다. 또한 재즈의 기본 앙상블에 대해 이해하고, 협연을 통한 개인 연주 실력을 향상시켜 앙상블 능력을 보완한다.
케이팝은 다양한 신서시스 테크닉을 사용하여 효과적이고 화려한 음악적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케이팝 제작자에게는 이에 대한 활용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교과목은 오실레이터, 필터, 엔벨로프, LFO 등 신서시스 이론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실습하여 향후 케이팝 제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돕는다.
보컬전공자 및 피아노 비전공자를 위한 교과목으로 가요, 팝, 재즈, R&B, Blues, 컨탬포러리 등의 기본적인 코드 진행 및 화성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변주/리하모니제이션을 통한 편곡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무대 위에서의 보컬 퍼포먼스(마이킹법, 시선처리, 표정, 제스쳐 등) 방법을 숙달할 수 있으며, 팀별 프로젝트를 통해 영상 콘텐츠를 제작한다.
기존에 알려진 랩 곡들의 가사 전개를 이해하고, 본인만의 특성을 담은 랩을 만들어 가사를 중심으로 한 창작과정을 경험한다.
본 수업은 현대 뮤직 비즈니스의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실무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획부터 제작, 유통, 홍보, 마케팅까지의 모든 단계를 실제 사례 기반으로 학습하며, 수강생이 직접 1인 기획자, 창작자, 실연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음악 프로덕션의 전 과정을 체험한다.
본 교과목은 영화, 광고, 드라마, 게임 등 콘텐츠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는 사운드 디자인을 학습한다. 사운드 디자인을 위한 음향 이론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음원을 제작하여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본 수업은 뮤지션으로서의 음악적 정체성과 창작 방향을 정립하고, 시장 내 포지셔닝을 통한 체계적인 브랜딩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브랜딩 기초 이론부터 실제 전략 기획과 실행까지 실습 중심으로 진행되며, 수강생이 독창적인 아티스트 브랜드를 구축할 수 있는 실무 역량을 기른다.
가창의 기본이 되는 발성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확립하고, 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한 자신의 가창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을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의 가창을 교정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본 수업은 대학원 수준의 실용음악 전공자에게 필수적인 스튜디오 실무의 전반을 학습한다. 수강생 전원이 싱글 음반 제작에 참여하는 프로젝트 기반의 수업이며, 수강생과 협의하여 한 학기에 최소 7개, 최대 14개의 싱글 음반을 제작하는 데 목표를 둔다. 작곡 전공자는 본인의 창작곡 제시 및 디렉팅 역할, 연주 및 가창 전공자는 세션 아티스트의 역할, 엔지니어 전공자는 믹싱 및 마스터링의 역할, 비즈니스 전공자는 디자인 및 유통, 마케팅의 역할을 담당하는 협동 수업이다. 필요시, 동대학원 내 ‘믹싱테크닉과실습’수업과의 캡스톤식 연계를 이뤄 결과물 산출 확대를 위한 협업 수행이 가능하다.
국가 이미지 제고의 원동력이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산업 수익 창출의 창구로 자리 잡고 있는 한류의 생성과정 및 현황을 학습하고 향후 전망을 분석함으로써 한류가 정체성 희석, 혐한류 등의 맹점들을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국가 브랜드와 경제 산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과제를 점검한다. 더불어, 한류의 근원지이자 주변 중요 국가인 타 아시아 국가들, 특히 중국과 일본의 다양한 문화를 접하고 비교함으로써, 문화적 차이, 문화적 가치, 문화적 특징 활용 등에 대한 다각도의 고찰을 수행하고 한류와 아시아 국가의 상호 협력, 상생 발전을 위한 다양한 문화 교류의 방향성을 모색한다.
이 교과목은 실용음악 전공자가 자신의 창작 및 연주 활동을 바탕으로 음악적 정체성과 예술적 방향성을 명확히 정리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수업이다. 실기 중심의 학습 경험을 토대로 예술 활동의 의미를 구조화하고, 텍스트로 표현하는 훈련을 통해 개인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기획안, 공연 해설문 등 다양한 실무적 산출물로 확장 가능한 표현 역량을 키울 수 있다. 특히 실용음악 전공자에게 요구되는 창의성과 논리성, 표현력을 통합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향후 작품 설명, 실연 기록, 발표자료 구성 등과 연계되는 자기 표현의 기초를 마련하는 실습형 수업이다.
이 과목은 Logic Pro X를 중심으로 한 DAW(Digital Audio Workstation)를 활용하여,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헐리우드 영화음악 작곡 기법을 배우고 이를 직접 실습하는 수업이다. 과거와 현재 헐리우드에서 실제로 사용된 영화 음악 큐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1분∼1분 30초 분량의 오리지널 음악 큐를 작곡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수업에서는 업계에서 사용되는 가상악기, 샘플러, 신디사이저 등을 소개하며, 무료 샘플 소스도 함께 제공한다. 매주 다양한 장르의 영화음악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컴퓨터를 활용한 작곡 실습을 진행한다.
한국대중음악과 한국드라마 등 전 세계적으로 한류열풍이 불고 있는 지금 이 시대에 발 맞추어, 드라마 속에서 나오는 노래 및 배경음악을 분석, 연구하고 드라마 음악을 제작한다.
보컬 전공자들의 교육자, 연구자로서의 역량 제고를 위한 기본적인 자질 및 실무(교육활동, 연구활동)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다.
본 수업은 한 학기 동안 학습자가 직접 음악교육콘텐츠를 기획, 개발,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단순한 이론 학습을 넘어 실제 음악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본 수업은 한 학기 동안 학습자가 자신만의 문화콘텐츠를 기획, 개발, 완성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발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디지털 싱글 앨범 제작, 공연제작, 음악교육 콘텐츠 개발 등 다양한 영역에서 창작 활동을 수행하며, 최종 결과물을 영상과 함께 제작하여 종합적인 문화콘텐츠 역량을 기르는 것에 중점을 둔다.
스튜디오에서 녹음 되어진 음반 프로젝트를 가지고 리듬 편집 및 보컬 튜닝 등 전반적인 오디오 편집기법을 실습한다. 또한 편집된 오디오 트랙들에 대한 컴프레싱, 이퀄라이징, 공간계 이펙터 사용 등 오디오 플러그인의 사용법, 그리고 전체적인 패닝과 악기간 밸런스, 올바른 모니터링 등 믹싱에 필요한 다양한 기법을 접하고 실습한다.